오늘은 AWS S3를 사용해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고, 또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필요한 것들! 1) AWS에 접속할 액세스키, 시크릿키 생성하기 2) S3 버킷 생성하기 Amazon S3란? AWS에서 제공하는 파일 서버다.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자주 액세스해야하는 기본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를 해야하는 경우에는 S3 Standard에 저장하고, 파일을 업로드한 후, 액세스 빈도가 낮다면 S3 Standard-IA 또는 S3 One Zone-IA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굳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가격 절감을 위해서임) 이렇게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여 가격 절감을 노릴 수 있다. 만약 진짜 데이터 보관용으로만 사용할 경우에는 (액세스..
전체 글
공부한거 아카이빙 ing..AWS로 아키텍처를 구축하려고 할 때 4가지 아키텍처 중 1가지를 골라야 한다. AWS ECS와 EKS를 선택할 때 요구사항과 관련지어 잘 선택하는게 중요하다. 아래의 4가지 관점을 참고해서 어떤게 나에게 맞을지 찾아보자. 1. 비용 2. 확장성 3. 신뢰성 4. 엔지니어링 관점 아래 내용은 "AWS 컨테이너 설계와 구축 철저 입문"이라는 책을 읽고 요약한 내용입니다 :) 1. AWS가 제공하는 컨테이너 서비스 제어 플레인이란? 컨테이너 기술에서는 Control plane이란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AWS에서는 ECS와 EKS로 나뉜다. ECS란? AWS에서 제공하는 Elastic Container Service의 줄임말이며, 완전 관리형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터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

안뇽.. 요즘 회사에서 도입중에있는 Spring Cloud 를 EC2에 구축하는 실습을 정리해보았다.. ! 미리 써두었던 것에 설명만 조금 추가해서 올려봄 EC2 생성하기 EC2란?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컴퓨팅 환경이다. 로컬에서 서버를 가동시키려면 컴퓨터를 24시간 하루종일 가동시켜야 한다. 그럴 경우, 컴퓨터가 고장이 나거다 셧다운 될때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비상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해서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빌려와 자동 증설 및 복제를 가능하게 하여 서버를 안정적이게 운영할 수 있다. (더 많은 유용한 기능은 아래 문서 참고)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concepts.html ..

안녕~ 오늘은 도커로 서버에 배포하는 걸 정리해볼 예정이다. 순서는 1. Dockerfile 생성후 이미지 빌드하기 2. 생성된 이미지로 컨테이너 구동하기 위 정도의 순서로 간단히 실습해보자. 1. 도커 파일 만들기 도커는 Dockerfile에서 조건들을 읽어서 이미지를 자동으로 빌드한다. 즉 Dockerfile이 있어야만 이미지를 빌드할 수 있다. Dockerfile은 다양한 종류의 커맨드로 작성이 되어 있어서 조건 같은 것들을 달 수도 있고, 이미 공식 Docker Hub에 올라간 이미지를 가져올 수도 있다. Docker Hub는 이미지를 올릴 수 있는 저장소 같은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나중에 배포 자동화를 할 경우 로컬에서 Docker Hub에 이미지를 push하고 서버에서 pull하도록 젠킨스를 ..